미래내일 일경험(프로젝트형) 프로그램 이란?
최근 기업의 수시, 경력 채용 확대 및 채용 시 직무역량 중시 경향 등에 따라청년 일경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지원하기 위해 고용노동부에서 주관하는 사업입니다.
청년 지원대상
[ 참여자격 ]
15세 이상 ~ 34세 이하 미취업 청년
[ 참여제한 ]
- 신청일 현재 취업 중이거나 사업자등록중인자 ※ 판단기준 : 고용보험에 가입 중인 자, 계약직, 프리랜서 등의 형태로 해당 사업장에서 재직하고 있는 자, 세법에 따라 사업자등록을 한 자
- 배우자, 직계존비속 또는 형재자매가 참여기업 사업주(대표자)인 자
- 허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정부(국가·지자체) 일경험 지원사업에 참여한 자
- 단순 변심으로 청년 일경험 지원사업에 참여하여 2회 이상 중도이탈한 자
- 국민취업지원제도 일경험 프로그램, 청년친화형 기업 ESG 지원사업에 참여하였거나 참여 중인 자
- 지원금 및 참여수당 관련 중복 지급 제한(타 일경험 지원사업 등) 예시 1. 국민취업지원제도 구직촉진수당, 청년 일경험 프로그램 참여수당 중 1개 수당을 선택하여 지급가능 예시 2.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점프업 포인트, 청년 일경험 프로그램 참여수당 중 1개 수당을 선택하여 지급가능
- 실업급여 수급중인 자
청년 주요 지원내용
-
사전직무교육비(15시간)
2만원- 교육수당 1인당 일 1만원 지원
- 2일간 총 2만원 지원 * 사전직무교육 수료 시
-
일경험 지원금
60만원- 1인당 4주 30만원 지원
- 8주 총 60만원 지원 * 청년 개인 계좌로 지급
-
팀 지원비
240만원 / 8주- 1팀 4명 기준
- 팀당 월(4주) 120만원 지원
- 팀 대표자가 개설한 별도 계좌로 지급
구분 | 항목 | 1인 기준 | 지급 대상 및 기준 | 8주 지급 총액 | 지급시기 |
---|---|---|---|---|---|
지원금 예시 | 청년 지원금 | 30만 원 x 2개월(8주) | 참여자 개인별 | 60만 원 | 1차: 5주차 2차: 9주차 |
팀 지원비(프로젝트 실행비) | 120만 원 × 2개월(8주) | 팀 당(4인 기준) | 240만 원 |
기업 지원 대상
[ 참여자격 ]
15세 이상 ~ 34세 이하 미취업 청년
[ 참여제한 ]
-
고용보험 피보험자 10인 이상* 기업 공공기관, 지방공기업, 비영리단체, 비영리법인 등
* 일경험 사업 참여 신청 직전 월말 기준.
** 다만,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10인 미만의 기업이라도 다음의 기업은 참여가능
*** 5인 미만 사업장 참여 제한
메인비즈 인증사
벤처기업
이노비즈 인증사
사회적기업
기업 주요 지원내용
-
기업
40만원- 참여청년 1인당 4주 5만원 지원
- 총 40만원 지원 (10만원 * 4명) * 기업 계좌로 지급
-
멘토 (임원급 불가)
120만원- 참여청년 1인당 4주 15만원 지원
- 총 120만원 (30만원 * 4명) * 멘토 개인 계좌로 지급 * 원천징수 제외 금액으로 전달
구분 | 항목 | 1인 기준 | 지급 대상 및 기준 | 8주 지급 총액 | 지급시기 |
---|---|---|---|---|---|
지원금 예시 | 기업 지원금 | 5만 원 × 2개월(8주) | 참여자 1인 10만원 × 4인 | 40만 원 | 1차: 5주차 2차: 9주차 |
기업 멘토 수당(팀 관리자) | 15만 원 × 2개월(8주) | 참여자 1인 30만원 × 4인 | 120만 원 |
프로젝트 구성 안내
참여기업이 프로젝트를 어떻게 꾸리는지 궁금하죠?
현업에서 실제로 하는 일을 기반으로 직무 분야별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관리해요.
간단히 알려드릴게요!
[ 프로젝트 설계, 이렇게 해요 ]
- 프로젝트팀은 주 단위나 월 단위로 개인별 할 일을 정하고 챙겨요.
기획부터 실행까지 깔끔하게 관리하는 거예요!
[ 프로젝트 범위, 뭘 할 수 있냐면요 ]
과업에 필요한 용역, 연구는 기본이고, 직무교육 외에 필요한 교육도 추가할 수 있어요. 예시는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!
- 현업 과제를 풀기 위한 사업 기획, 설계, 연구
- 산업·기업 현장을 직접 둘러보는 탐방
- 잘된 프로젝트 사례 공부하고 배우기
- 프로젝트 더 잘하려고 자문·컨설팅 받기
참여기업 멘토&담당자 안내
‘프로젝트형 일경험’에서 멘토와 기업 담당자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죠?
간단히 정리해드릴게요!
[ 멘토 선임 기준 ]
멘토는 프로젝트 기획과 실행을 돕는 핵심 멤버예요. 이런 조건을 맞춰야 해요!
- 대학교 정교수, 부교수, 조교수 이상 (학과 상관없음)
- 컨설팅 분야 5년 이상 경력
- 프로젝트 관련 분야 3년 이상 경력 (퇴직자도 OK)
- 이와 비슷한 자격이 있다고 인정되는 사람
[ 멘토가 할 일 ]
- 프로젝트 기획안 다듬고 구체화하기
- 청년들 역할 명확히 나눠주기
- 프로젝트에 맞는 모델 제안하고 적용하기
- 연계 가능한 기업 더 찾아오기
[ 참여기업 담당자 역할 (멘토와 달라요!) ]
- 필수 조건: 프로젝트마다 담당자 1명 이상 지정해야 해요.
- 할 일: 프로젝트팀 중간 점검(2회 이상)하고 피드백 주기.
- 주의점: 담당자는 멘토로 공식 인정되지 않아요.
[ 결론 ]
- 기업 실무자는 담당자로 중간 점검과 피드백을 할 수 있어요.
- 하지만 공식 멘토가 되려면 “프로젝트 관련 3년 이상 경력” 같은 조건을 채워야 해요!